새 블로그
여태 블로그를 두 번 운영했다.
고등학교 졸업 직전에 열었던 첫 블로그는 3년쯤 운영하며 글을 백편 넘게 썼다. 처음에는 Typo1라는 소프트웨어로 만들다가 몇 개월 뒤 WordPress로 이전했다.
두번째 블로그는 2010년에 시작해서 7년 동안 글을 약 200편 넘게 썼다. 처음에는 Tumblr로 열었지만 나중에는 정적 블로그 생성기—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면 많이들 한번쯤 만들어 본다는—를 써서 GitHub Pages로 옮겼다.
2017년을 마지막으로 한동안 블로그에 글을 쓰지 않았다. 글을 안 쓰다보니 쓰고 싶은 글도 점점 사라졌고, 글을 어떻게 써야 할 지 막막해졌다. 그래서 독후감이라도 쓰자고 다짐한 게 지난해 봄이다. 독후감을 써 보니 다시 블로그도 하고 싶어졌는데, 있던 블로그는 어쩐지 먼지가 쌓인 느낌이 들고 손이 안 갔다. 예전에 썼던 글도 마음에 안 드는 게 많았다. 여러 생각이 크게 바뀌었기 때문에, 글을 조금 손보는 걸로는 성에 차지 않았다.
실은 파일 하나짜리 Python 스크립트로 직접 만들었던 정적 블로그 생성기도 영 마음에 안 들던 참이었다. 한편, 그 사이 나는 거의 모든 사적 기록에 국한문을 쓰게 되었고, 블로그도 적어도 원고만은 국한문으로 적고 싶었다. 마침 국한문으로 원고를 쓰면 한글 전용으로 출판할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인 선비도 만들어 뒀었다. 그래서 그냥 세번째 블로그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2
처음에는 GitHub Pages에서 아무 설치 없이 쓸 수 있는 Jekyll로 블로그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런 구성으로는 선비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밖에 다른 정적 블로그 생성기들을 써보느라 한두 달을 보냈던 것 같다. 서베이 끝에 깨달은 것은, 내가 바라는 요구사항의 많은 것들이 그다지 합리적이지 않기에 일반적으로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21세기 한국, 어느 누가 국한문으로 원고를 쓰고 또 그걸 다시 한글 전용으로 출판하고 싶어할까.
결국 이런저런 핑계로 또다시 직지라는 정적 블로그 생성기를 만들게 됐다. 새로운 플랫폼도 배울 겸 Deno를 썼는데, 꽤 마음에 들어서 앞으로 Python 대신 Deno를 많이 활용하려고 한다. 다 만들고 보니 역시나 벌써부터 마음에 안 들어서 큰일이지만, 그래도 블로그를 2021년이 가기 전에는 시작하자고 마음을 다잡았다.
아무튼 모처럼 블로그를 새로 만들었으니 이제 글도 다시 꾸준히 써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