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모른다1

劉俐思(유리사)를 따라 是枝裕和(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아무도 모른다」(誰も知らない)를 봤다。몇 ()이나 눈물을 삼키느라 혼났다。퉁쳐서 말하면 總體的(총체적) 亂局(난국)시스테믹한 悲劇(비극)이라 할 수 있을까。

人工的(인공적) 構造物(구조물)에는 宂長度(용장도)(redundancy)가 있기 마련이라、한 두 部分(부분)故障(고장) 난대도 全體(전체) 構造物(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데에는 大槪(대개) 支障(지장)이 없다。따라서 構造物(구조물)이 크게 誤作動(오작동) 한다면 이미 여러 레이어에서 故障(고장)이 잔뜩 나 있다고 볼 수도 있다。「아무도 모른다」의 첫 ()을 보며 느낀 것은、이들 家族(가족)에게 이런 悲劇(비극)이 왔다는 것은 곧 그저 한 두 가지의 잘못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더 큰 레벨에서、곳곳의 잘못이 累積(누적)된 것이여야 하지 않나、하는 생각이었다—그래서 總體的(총체적) 亂局(난국)。그러나 終盤(종반)에 가서는 이 생각이 다시 뒤집히고 말았다。이런 家族(가족) 한 둘쯤 悲劇的(비극적)으로 生命(생명)을 잃는대도、우리 大部分(대부분)社會(사회) 시스템의 利器(이기)(機能(기능))를 누리는 데에는 아무 支障(지장)이 없으며、따라서 그들의 죽음 따위는 우리 () 아무도 모른다()시스테믹한 悲劇(비극)으로、그러한 悲劇(비극)들은 나머지 우리의 삶을 누리기 위해 시스템의 餘分(여분)(redundancy)으로 機能(기능)한다…


  1. 페이스북에 올렸던 글인데、이제는 페이스북을 안 하게 되어 이곳에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