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境界 없는 페미니즘』
『境界 없는 페미니즘』은 2018年 즈음 濟州島에 있는 예멘 難民의 追放을 要求하는 世論에 對해 相互交叉性에 立腳해 여러 페미니스트들이 回答하는 글을 揭載한、같은 이름의 페이스북 페이지의 글들을 엮어 冊으로 낸 것이다。머리말 「우리의 말은 如前히 작고 느리고 稀微하지만」과 맨 마지막의 「다시 境界 없는 페미니즘을 爲하여」를 除外한 모든 글은 저 페이스북 페이지에 그대로 남아 있다。
애初에 이 冊을 엮는 프로젝트를 알고 後援할 수 있었던 것도 그 페이스북 페이지를 購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實은 이미 읽은 글도 많았다。그렇지만 못 읽고 놓진 글이 더 많았고、半 以上 읽을 때까지 이미 읽은 글이라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가물가물해진 글도 많았다。이미 읽은 글도 다시 읽으니 새로웠다。
冊을 받은 것은 2019年 가을인데、그 해 끝자락부터 아주 천천히 읽었다。어려운 內容도 많았고 한 고작 文段 읽고서 한참을 생각할 때도 많았다。하루에 글 하나씩 읽었던 것 같다。잘 읽히지 않아도 그냥 앞에서부터 順序대로 읽었다。글은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라온 順序와는 다르게、크게 네 가지 主題에 맞춰 다시 羅列됐고、그 編輯 그대로 읽고 싶었기 때문이다。그렇지만 도리어 그 때문에 더 읽기 어렵고 散漫하기도 했다。모두 다른 사람이 하나의 事件을 갖고 썼고、게다가 相互交叉性을 받아들인 페미니스트들이라는 同質性까지 합쳐져、重要한 메시지들은 거의 모든 글에서 겹쳐서 나왔다。했던 얘기를 계속 들으니 잊어버릴 새는 없었지만、글 하나하나가 참 좋았음에도 이어서 읽기에는 힘들었다。
내가 한참 읽는 동안에는 豫備役 下士 변희수 氏가 性再指定手術을 받은 뒤 陸軍에서 強制轉役된 일이나 트랜스젠더 淑明女大 合格生이 學內 反對 輿論에 入學을 抛棄한 일이 있었고、이 事件들은 自然스럽게 冊의 메시지를 생각할 때 함께 떠오를 수밖에 없었다。
모든 글이 다 무겁게 다가왔지만、읽는 동안 메모했던 곳들을 引用해본다:
(…) 女性嫌惡는 男性中心的 社會의 便宜를 爲해 構造가 簡便하게 發展시킨 偏見임을 捕捉했듯이 말입니다。(…) 그래서 歡待는 그 行爲에 잇따르는 苦悶과 問題들 또한 우리가 敢히 甘受하겠다는 意志的 宣言입니다。더 나아가 그 過程에서 苦悶을 함께 줄여나가고、問題들을 最小化 하겠다는 政治的인 움직임입니다。아무런 「問題」가 없을 때 他者를 歡迎하고 受容하는 것은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예찬 「퀴어로서 難民을 歡待해야 하는 理由」
한 社會의 差別과 抑壓을 생각할 때면、그 差別과 抑壓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存在도 언제나 같이 떠올려야 한다。그들은 도움을 받아야 할 對象이라기보다 自己들이 處한 狀況을 딛고 現在와 未來를 組織하는 主體다。그들의 싸움에 連帶하고자 한다면、우리 自身이 그들의 事情에 無知할 수 있고 그렇게 無知하다는 事實에 對해서도 無知할 수 있음을 嚴格하게 認定하는 데서부터 始作해야 한다。묻고 듣고 배우려는 마음으로、정말로 힘을 보태자는 意志를 가지고、先入見 없이、思慮 깊게 말이다。이것은 應答하기 爲한 最小限의 準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