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 없는 페미니즘

경계 없는 페미니즘》은 2018년 즈음 제주도에 있는 예멘 난민의 추방을 요구하는 세론에 대해 상호교차성에 입각해 여러 페미니스트들이 회답하는 글을 게재한, 같은 이름의 페이스북 페이지의 글들을 엮어 책으로 낸 것이다. 머리말 〈우리의 말은 여전히 작고 느리고 희미하지만〉과 맨 마지막의 〈다시 경계 없는 페미니즘을 위하여〉를 제외한 모든 글은 저 페이스북 페이지에 그대로 남아 있다.

애초에 이 책을 엮는 프로젝트를 알고 후원할 수 있었던 것도 그 페이스북 페이지를 구독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실은 이미 읽은 글도 많았다. 그렇지만 못 읽고 놓진 글이 더 많았고, 반 이상 읽을 때까지 이미 읽은 글이라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가물가물해진 글도 많았다. 이미 읽은 글도 다시 읽으니 새로웠다.

책을 받은 것은 2019년 가을인데, 그 해 끝자락부터 아주 천천히 읽었다. 어려운 내용도 많았고 한 고작 문단 읽고서 한참을 생각할 때도 많았다. 하루에 글 하나씩 읽었던 것 같다. 잘 읽히지 않아도 그냥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읽었다. 글은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라온 순서와는 다르게, 크게 네 가지 주제에 맞춰 다시 나열됐고, 그 편집 그대로 읽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도리어 그 때문에 더 읽기 어렵고 산만하기도 했다. 모두 다른 사람이 하나의 사건을 갖고 썼고, 게다가 상호교차성을 받아들인 페미니스트들이라는 동질성까지 합쳐져, 중요한 메시지들은 거의 모든 글에서 겹쳐서 나왔다. 했던 얘기를 계속 들으니 잊어버릴 새는 없었지만, 글 하나하나가 참 좋았음에도 이어서 읽기에는 힘들었다.

내가 한참 읽는 동안에는 예비역 하사 변희수 씨가 성재지정수술을 받은 뒤 육군에서 강제전역된 일이나 트랜스젠더 숙명여대 합격생이 학내 반대 여론에 입학을 포기한 일이 있었고, 이 사건들은 자연스럽게 책의 메시지를 생각할 때 함께 떠오를 수밖에 없었다.

모든 글이 다 무겁게 다가왔지만, 읽는 동안 메모했던 곳들을 인용해본다:

(…) 여성혐오는 남성중심적 사회의 편의를 위해 구조가 간편하게 발전시킨 편견임을 포착했듯이 말입니다. (…) 그래서 환대는 그 행위에 잇따르는 고민과 문제들 또한 우리가 감히 감수하겠다는 의지적 선언입니다. 더 나아가 그 과정에서 고민을 함께 줄여나가고, 문제들을 최소화 하겠다는 정치적인 움직임입니다. 아무런 ‘문제’가 없을 때 타자를 환영하고 수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예찬 〈퀴어로서 난민을 환대해야 하는 이유

한 사회의 차별과 억압을 생각할 때면, 그 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존재도 언제나 같이 떠올려야 한다. 그들은 도움을 받아야 할 대상이라기보다 자기들이 처한 상황을 딛고 현재와 미래를 조직하는 주체다. 그들의 싸움에 연대하고자 한다면, 우리 자신이 그들의 사정에 무지할 수 있고 그렇게 무지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무지할 수 있음을 엄격하게 인정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묻고 듣고 배우려는 마음으로, 정말로 힘을 보태자는 의지를 가지고, 선입견 없이, 사려 깊게 말이다. 이것은 응답하기 위한 최소한의 준비다.

이진화 〈연대의 윤리—보이콧 버뮤다 운동의 오류에서 배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