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에 대하여

이 책을 고른 것은 역시 아무래도 서경식 선생의 저서이기 때문이라 해야 할 것이다. 몇 해 전 읽었던 《난민과 국민 사이》가 요 몇 해 사이에 내 생각을 가장 많이 바꾸게 한 책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서경식 선생의 책은 나오는 대로 찾아 읽으려 하는 편이다. (아직 일본어 읽기가 빠르지 못해 원서를 읽을 엄두는 내지 못하고 있지만…)

책임에 대하여》(責任について)는 서경식 선생과 다카하시 데쓰야 선생의 대담을 엮은 것으로, 애써 짧게 줄여 보자면: 현대 일본의 되다 만, 그래서 마침내는 후퇴하고 있는 책임 의식을 이야기한다. 특히 여기서는 현대 일본의 리버럴이 얼마나 알맹이가 없는지를 낱낱이 드러내고 있는데, 이를테면 아래는 다카하시 선생 스스로는 어땠는가에 대해 말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 이래의 서양 철학의 전통과 같은 것이 일단 파산했다고 할 수밖에 없는 지점에서 각자 사고를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상황에서 20세기의 사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일본에 가지고 오면 그저 ‘공부’의 대상밖에 되지 않는 구조가 견고하게 존재해요. 나 자신도 그런 속에서 자랐으니까 완전히 벗어났다고는 여기지 않지만, 공허한 생각에 사로잡힐 때가 많아져서 이대로는 아무래도 만족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새로운 지식보다는, 얼기설기 알고 있던 문제들을 일관된 의식으로 조명하여 더 깊게 생각해 볼 기회를 많이 주었다. 오키나와의 미군 기지 문제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 문제는 따로 그것만 다루는 책을 읽어보지는 못해 구체적으로는 잘 몰랐지만, 여러 언론 보도나 일본의 현대사나 정치를 다루는 글에서 지나가며 언급될 때가 많아 조금은 익숙한 주제였고,1 사실 모르는 사건이나 인명이 나와도 하나하나 찾아가며 읽지는 않았다.

이하는 읽는 동안 밑줄 쳐둔 곳이나 메모한 것들을 함께 적는다.


이는 모토시마 히토시 나가사키 시장이 쇼와 천황에게 전쟁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가 우익 세력에게 저격당했을 때(1990년 1월 18일), 전체 매스컴이 한 목소리로 언론의 자유에 대한 폭력은 용납될 수 없다라고 했던 논조와도 겹칩니다. 천황에게 전쟁 책임이 있다는 모토시마 씨의 주장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제시하지 않았어요. 그것이 실로 공허한 주체지요. 언론의 자유를 지켜라라고 하면서 어떤 언론인지는 말하지 않고 회피했습니다.

언론이 일절의 가치 판단을 피하려고만 한다면 (아니, 이도 좋게 봐준 것이고, 책임을 져야 할 때만 쏙 빠지려고 한다면) 그 언론에게 주어지는 무제한의 자유라는 것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 것일까.


그저 송구스럽다는 태도를 취해 온 사람들일수록 견디지를 못합니다. 그런 태도가 일본 지식인들의 아시아에 대한, 조선에 대한, 중국에 대한 접근 방식 속에 있었고 그 병의 뿌리가 깊어서, 내용은 없이 그저 죄송하다는 일종의 코드밖에 없었으므로, 그것이 역전되는 순간에 내용도 사라져 버리지요. 그런 방식이 아닌, 어떤 문제에 책임이 있는가, 어떤 책임이 있는가, 나는 어느 부분에 대해 책임을 느껴야 하는가, 라는 분절화된 인식을 하지 못하고 그냥 통째로 일본인이 옳은가/조선인이 옳은가, 라는 식의 사고밖에 할 수 없게 되었지요.

일종의 코드밖에 없는 태도, 여러 인권 문제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듯.


그것은 1990년대에 나온 페미니즘과, 그런 인간 해방이나 민족 해방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논점이지요. 다수파 여성이 다수파의 권내에서 여성의 권리를 주장한다/다수파로서의 파이 배당 몫을 다투고 있다/다수파 남성과의 균형을 다투고 있다는 것인데, 그 자체는 반론할 수 없지만 그 다수파가 구성하는 국가가 식민지를 억압하거나 수탈할 경우에, 다수파 내부의 모순만 문제 삼는다면 결과적으로 식민지적 관계를 승인하는 구조를 만듭니다.

기시감. 우리가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에 눈 감아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미국에 의해 억압받고 수탈 당하는 지역의 사람들로서는 제국주의, 식민주의의 멍에에서 해방되는 것이 1차적 과제인 데 비해, 미국 국민=시민은 ‘파이’를 얼마나 ‘공정’하게 분배받을지가 과제입니다. 따라서 ‘파이’가 커지는 것 자체, 즉 식민지적 수탈 자체에 대한 근원적인 저항은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다수파 중 다수에 내면화된 식민주의적인 심성이 그것을 곤란하게 만드는 장벽입니다.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타이밍이 일본의 우파 세력에게 순풍이 되었다고 할 수 있겠군요. 즉 냉전 구조의 붕괴와 동시에 동아시아에 전쟁 피해자들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냉전 구조의 붕괴는 이른바 좌익 인사들이 자신을 완전히 잃어버린 사건이었으므로 좌익적인 기반 위에 존재하고 있던 노동조합, 예컨대 우파가 실체 이상으로 적대시하는 일교조도 흔들렸기 때문에 인권 교육이나 평화 교육의 대응도 약화되었지요. 아마도 교사 한 사람 한 사람이 인권이나 평화 문제를 자신의 사상으로 내면화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생각이 듭니다.

냉전의 해체가 피해자들을 억누르던 힘을 완화시켰지만, 그러면서도 민주화를 스스로 쟁취하지 않은 일본 리버럴의 바닥을 무너뜨리기도 했다고 보는 서경식 선생.


가토 슈이치 씨와 히구시 요이치 씨의 대담집(《時代を読む―「民族」「人権」の再考》, 소학관, 1997년)을 읽고 충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 일본이 길을 잘못 든 것은 만주 사변(1931년) 이후라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만주 사변 무렵에는 일본이 이미 식민지 제국이 되었는데도 말이지요. 즉 그러면 어찌 되는고 하니, 전후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리버럴파 지식인들의 역사 인식과 아베 신조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의 역사 인식이 어떤 의미에서는 연결되어 버립니다.


스기타 씨2의 경우는 (…) 그때 나에게 서 선생, 민족·국가 같은 관념은 낡았으니 버리는 것이 좋아요라고 말했습니다.

다카하시 음, 일본인이 재일 조선인에게 할 수 있는 말일까 하는 느낌이 드는군요. 포스트모더니즘을 빠져나간 일본 지식인들 중에서는 민족이나 국가를 간단하게 넘어서는 것이 가능한 듯이 말하는 사람이 많아요. 하지만 국가를 ‘관념’으로 내버릴 수 있는 듯이 생각해도, 현실적으로 국가를 버릴 수 있느냐 하면 그리 간단치 않습니다. 빈번히 국제 심포지엄에 참가하고 ‘국경을 넘는’ 지식인으로 활동하고 있을 사람들도 일본 정부가 발행한 여권의 보호를 받고 이동하는 처지여서, 국가를 초월한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알고 보니 약삭빠르게도 국립 대학 교원이더라 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위 얘기는 포스트콜로니얼 연구를 묻는다 섹션에서 가져온 것인데, 그 섹션에서는 이어서 우치다 다츠루로 화제가 옮겨간다. 기가 막히는 인용들. 아마 지난해(2019년)에 한국 언론에서도 파국 원망 같은 것으로 무역 보복에 대해 말했던가. 좀 세게 얘기하자면 이쯤 되면 한남 리버럴과 거의 거울과 같은 이야기들 아닌가. 아니, 한국 리버럴이 보고 배운 원본이니 당연하다고 해야 하는 것인지.


예컨대 후쿠시마 번호판을 단 거가 주차하려 하면 가까이 오지 말라고 한다거나, 피난 온 아이들이 피난지의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지요. 크게 보면 근대 일본이 그런 분단과 차별 위에 만들어진 식민 제국인데 그 구조가 지금의 일본 사회에서도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습니다.

차별 구조는 그러한 질서를 (적극적이든 비자발적이든) 승인한 모두가 차별 당하도록 만든다. 누가 더 나중에 당하냐, 누가 더 많이 당하냐만 다를 뿐이다. 코로나19로 드러난 「우한→중화 인민 공화국→중화→동아시아」의 체인을 봐도 알 수 있다.


전기는 모두가 일상적으로 향유하는 것이고 자신들의 풍성한 소비 생활을 떠받치고 있지요—그 에너지원으로서 원전을 국책으로 추진해 왔고 종종 사고를 일으켰다, 이것은 불운한 일이고 특히 큰 피해를 입은 후쿠시마 사람들에게는 아마 최악이었겠지만 그것을 굳이 가해/피해 같은 대립 구도로 볼 필요는 없지 않나, 라는 것이 리버럴한 사람들까지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감각 아닐까요. 그러나 서 선생이 말씀하신 대로, 원전 사고는 가해 행위이며 자국민만이 아니라 근린 제국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주고 재가동하면 방사성 폐기물을 자꾸 축적해서 미래 세대의 위험(risk)을 높입니다. 따라서 그 사고가 일어나고 얼마 뒤에 깨달은 것은 일본 열도에 이렇게 많은 원전을 건설한 시대, 고도 경제 성장기에 태어나 자라고 성인이 된 우리 세대야말로 가해 책임의 당사자들이라는 사실입니다.


체르노빌의 목소리》(Чернобыльская молитва)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етла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Алексие́вич)가 2000년 방일했을 때 들었다는 소리:

그녀가 말하기를, 그 전에 일본에 왔을 때 당신들 나라는 사회주의 국가여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원전 사고가 났지만, 일본에서는 일어나지 않아요라는 말을 들었다고 해요. 일본뿐만 아니라 프랑스나 다른 나라들에서도 같은 말을 들었다고 합니다.


나는 여러 가지 문제로 우파로부터 종종 공격을 받아 왔습니다만, 이 주장에 대해서는 오히려 좌파로부터 반발과 저항이 강해서 놀랐습니다. 전후 좌익이 지상 명령으로 삼아 온 ‘안보 반대’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겠지요. 본토의 호헌파나 리버럴파는 이 주장에 개입하면 오키나와와 식민자로서의 입장에 대한 직접적인 문제 제기가 나올까 봐 걱정해서인지 침묵과 무시로 일관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하지만 오키나와의 운동계나 지식인 세계에는 본토 이상으로 강한 반안보·반기지 운동의 역사가 있기 때문에, 실은 요즘 오키나와 내의 다른 주장들과 큰 논쟁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오키나와의 일반인들 사이에는 현외 이전은 당연하다는 의식이 확산되는 한변으로, ‘본토’가 ‘인수한다’는 데에 반대하는 지식인이 있습니다.

거듭 나타나는, 차별·식민 구조의 연쇄·‘겹들’로 인한, 피식민지 사이에서의 갈등.


오키나와에 대해서 ‘악마의 섬’이라고 말할 것이 아니라 ‘본토’의 ‘중심부 일본 국민’이 그 오명을 덮어써야 합니다. 그런 오명을 덮어쓰고 싶지 않다면 자신들의 의사와 힘으로 그것을 그만두어야 합니다. 지금 이야기하는 식으로 말하자면, 안보 체제를 선택한 ‘본토’가 반격을 당하더라도 괜찮냐는 논의를 ‘본토’에서 해야 합니다.

안보 체제라는 것을 결정(그것 또한 강요된 것이긴 하다)했지만 그 책임은 오키나와에 떠넘겼다—그리고 그대로 움직이지 않으며 완전히 안보 체제를 벗어나자는 주장을 원론적으로만 되풀이한다. 그런데 본토 내에서도 아마 마이너리티일 그들의 목표를 현실화할 수 없는 까닭은, 본토의 마이너리티가 그들이 받아들인 안보 체제의 식민 지배를 체험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나도 현실 속에서 작동하는 권력관계 속에 있는 것이 분명한데, 그것을 일거에 뛰어넘으려 하는 내가 아이덴티티에 구애받지 않는 월경자라거나 재일 일본인이라거나, 국가와 민족을 이탈한 ‘난민’이고, 내적 망명자임이 분명하다는 등의 말들을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관념 속의 이야기이며, 일본 국민은 현실 속에 존재하고 그 속에 오키나와에 대한 차별 구조가 있지요. 현실에 존재하는 권력 구조를 직시하고 그것과 대치하며 그것을 바꾸어 감으로써 비로소 더 넓은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은가. 그런 과정은 생략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발언은 다카하시 선생이 한 것이지만, 서경식 선생의 《난민과 국민 사이》에서는 민족성 내지는 내셔널리티 같은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관해 (한국 같은 다양성이 떨어지는 곳에서 메이저리티로 살아온 사람에게는 잘 떠올리지 못하는) 아주 중요한 관점을 짚는다. 재일 조선인이 스스로를 일본인이 아니라 조선인으로 정체화한다면, 이것은 먼저 일본인이 그를 조선인이라고 구별짓기 시작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재일 조선인이 스스로가 조선인이라는 생각을 떨쳐낼 수 없는 것은 일본인이 그들이 자꾸 조선인이라는 것을 상기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 리버럴이 스스로를 재일 일본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적어도 일본 안에서) 재일 조선인이 멸칭으로 쓰이고 있으며 그러한 멸칭은 자칭이 아니라 오로지 남으로부터 불리는 것이라는 아주 기본적인 이해조차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의 레토릭에는 세 종류가 있는데 첫째로 인권 옹호, 민주주의 촉진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이라크전쟁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둘째, ‘문명의 충돌’로 이야기하는 것이지요. (…) 셋째, 신자유주의적 경제학의 법칙들을 받아들이는 것 외에 다른 선택지는 없다고 주장하지요. (…)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은 이렇게 권력에 의해 왜곡된 보편주의를 ‘유럽적 보편주의’라 부르고, 진정한 보편주의, ‘보편적 보편주의’를 이것에 대치시키라고 호소합니다. 이 두 개의 ‘보편주의’ 사이에서 선택은 피할 수 없다. 어떤 초개별주의적 입장(중략)으로 물러날 수 없다. 왜냐하면 초개별주의는 실은 유럽적 보편주의와 현재 권력을 장악한 자들의 힘—그들은 비평등주의적이며 비민주주의적인 세계 시스템의 유지를 꾀한다—에 대한 은폐된 항복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전후 일본까지 이어진 요시다 쇼인에 대한 평가 하나만 보더라도 메이지 이후의 대외 침략에 대한 정당화가 얼마나 뿌리 깊은지 알 수 있습니다만, 그 중심에는 존황 사상이 있고 옛 일본군의 ‘정벌’이라는 독특한 말에서도 그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즉 천황의 군대에 대드는 자는 잘못을 저지른 것이며 야만이고 낙후된 자들이므로 그들을 ‘정벌’해야 한다는 사상입니다.

김시덕 교수의 《일본의 대외 전쟁》(異国征伐戦記の世界ー韓半島、琉球列島、蝦夷地)에서 개론한 정벌이라는 말의 역사를 다뤘던 것이 함께 떠올랐다.


천황제는 없어질 운명이고, 없어지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지식인들 사이에는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지식인들 자신도 이중적이어서,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않다는 구도가 실은 내면화·습성화되어, 지금 다카하시 선생이 이야기했듯이 명석하게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아베 정권하에서 정치의 폭주가 계속될 때 호헌 입장에서 그것에 브레이크를 거는 유일한 존재가 아키히토 천황이리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리버럴파 지식인들 속에서도 눈에 띕니다. 하지만 여기서 천황의 역할에 기대하는 것 자체가 바로 천황제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책 마지막에 다카하시 데쓰야의 〈돌아보니 수치심 없이는…〉(かえりみて羞恥の感なきを……)3가 실려있는데, 이로부터:

그러나 다카미4의 그런 감개에는 바로 한 달 전까지 ‘일본문학보국회’에서 활동했던 작가의 한계도 보인다. 그는 자국 정부에 의해 당연히 주어져야 했던 자유라고 썼지 인민이 자국 정부가 보장하도록 만들었어야 할 자유라고 쓰지 않았다. 그가 부끄럽게 생각한 것은 자국민의 자유를 박탈한 ‘자국 정부’가 그 박탈을 해제하려 하지 않았다는 점이었지, 인민이 자국 정부와 싸워서 그것을 무너뜨리고 스스로 자유를 획득할 수 없었다는 점이 아니다. 다카미의 감각은 여전히 대일본제국헌법적 단계에 있었다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1. 이 책을 읽으며 다카하시 선생의 다른 저서 《희생의 시스템 후쿠시마 오키나와》(犠牲のシステム――福島・沖繩)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긴 했다. 마침 같은 역자인 한승동 기자가 옮겼다. ↩︎

  2. 일본의 정치학자 스기타 아쓰시. ↩︎

  3. 원문은 《계간전야》 2006년 봄호에 실렸다. ↩︎

  4. 일본의 작가 다카미 준. ↩︎